<원숭이 두창 국내 첫 확진>
정책브리핑 홈페이지에서 나온 자료를 살펴보면 원숭이 두창이 국내 첫 확진이 되었습니다. 의사환자 2명 진단 결과 내국인 1명 양성이 확인이 되었다고 합니다.
감염병 위기경보 주의 격상
: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6월 22일 원숭이 두창 의사환자 2명의 진단검사 결과 내국인 1명이 최종 양성으로 확인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두창 관련 특별 브리핑에 나선 백 청장은 국내에서 확진된 환자는 독일에서 지난 21일 오후 4시경 귀국한 내국인으로, 현재 인천의료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국내에서 원숭이 두창 첫 환자 발생을 확인함에 따라 감염병 위기경보를 '주의'단계로 격상해 방역조치와 감시 대응체계를 더욱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강조하였습니다.
또한 3세대 백신의 신속한 도입을 추진 중에 있다면서 원숭이 두창 치료를 위한 항바이러스제인 데코 비리 마트 500명분은 7월 중 국내 도입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에 따라 현재 대책반을 질병관리청장이 본부장인 중앙방역대책본부로 격상해 다부처 협력체계를 강화하기로 하였습니다. 전국 시&도 및 발생 시&도 내 모든 시&군&구는 지역 방역대책반을 설치 및 운영하도록 비상방역체계를 가동합니다.
아울러 원숭이 두창에 대해 하반기 검역관리지역을 지정하고, 특히 원숭이 두창이 빈발하는 국가들에 대해서는 발열기준 강화 등을 통해 해외 유입 감시를 강화하기로 하였습니다.
현재 국내 활용 가능한 치료제인 '시도포비어'와 '백 신니 아 면역 글로 불린' 은 의료기관에 필요시 배포해 사용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의사환자에 대한 진단검사는 당분간은 질병청에서 수행할 계획이나, 향후 국내 원숭이 두창 발생 상황을 고려하여 확산 등의 우려가 잇는 경우 지자체에서도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확대한다고 합니다.
또한 원숭이 두창 조기 발견과 지역사회 확산 차단을 위해 국민과 의료계의 협조가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라며, 의료진은 원숭이 두창 의심환자 진료 때 안전한 보호구를 착용하고 환자 감시와 신고에 적극적인 협력을 당부드린다고 부탁하였습니다.
문의: 질병관리청 감영병위기대응국 신종감염병 대응과(043-719-9130)
자료출처: 정책브리핑 www.korea.kr
Q & A로 알아보는 원숭이 두창
원숭이 두창을 사람에게 어떻게 전파가 됩니까?
: 감염 환자의 혈액 또는 체액(타액, 구토물, 소변)등이 피부 상처나 점막을 통해 직접 접촉으로 감염이 되거나 환자의 성 접촉으로 정액을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감염된 원숭이나 다람쥐 등 동물과 직접 접촉을 통해 감염될 수도 있습니다.
원숭이 두창 잠복기는 어느 정도입니까?
: 감염 후 5-21일(평균 6-13일) 이내에 증상이 나타납니다.
원숭이 두창의 주요 증상은 무엇입니까?
: 발열, 근육통, 두통, 근무력증, 요통, 허약감, 오한 등을 시작으로 1-3일 후 얼굴 중심으로 발진 증상을 보이며, 원심형으로 몸의 다른 부위로 발진이 확산, 구진성 발진은 수포, 농포 및 가피 등으로 진행이 되며 특정 부위 발진은 대개 같은 진행 단계인 것과 림프 절병 등이 특징이며 증상은 약 2-4주간 지속됩니다.
원숭이 두창의 감염을 예방하려면 어떻게 하나요?
: 원숭이 두창 발생지역 방문을 자제하고, 부득이하게 방문할 경우 혈액, 체액 접촉 시 개인보호구 사용 및 야생동물 취급 및 섭취 등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출처: 질병관리청
오늘도 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