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의 고민
카카오가 2분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는 마냥 좋아할 수 없는 상황이란 평가가 나옵니다. 경기침체와 소비 둔화 영향으로 핵심 사업인 광고, 전자상거래의 성장성이 눈에 띄게 둔화하고 있어서입니다. 남궁훈 카카오 대표가 찾은 돌파구는 가장 잘할 수 있는 사업인 '메신저'와 돈이 되는 '검색 광고'의 추가 결합입니다. 오늘은 신문에서 본 카카오 하반기 주요 경영전략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카카오 4분기 연속 한 자릿수 이익률
: 카카오는 2분기 매출 1조 8223역원, 영업이익 1710억 원을 올렸다고 발표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4.7%, 영업이익은 5.1% 늘었습니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입니다. 하지만 축배를 쏠 수 없는 상황이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컨센서스를 소폭 밑돌았습니다. 수익성 또한 나빠졌습니다. 영업이익률은 9.4%로 4분기 연속 10% 미만을 기록했습니다. 인건비와 마케팅비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2%, 65% 급증한 영향이 컸습니다. 공격적인 인력 채용 및 신사업 확대가 부메랑이 되었습니다. 주력 사업인 광고와 전자상거래 시장의 성장성이 둔화되고 있는 것이 카카오의 골칫거리입니다. 카카오톡 기반 광고인 '톡 비즈' 매출과 포털 광고 중심의 '포털 비즈' 매출은 전분기 대비 각각 1.7%와 10.2% 줄었습니다.
카카오 성장 전략
카카오의 하반기 주요 성장 전략은 크게 4가지로 나뉠 수 있습니다.
오픈채팅 강화
- 검색광고 도입
- 별도 앱으로 출시
- 운영자의 수익화 지원
프로필 기능 확대
- 특정인에게만 보이는 업데이트 도입
- 공감 표시와 선물하기 기능
친구 탭 수익화
- 비즈 보드 연내 선보일 계획
이모티콘
- 이모티콘 + 프로포션 준비
카카오 하반기 주요 경영전략

카카오톡
- 프로필 독립성 강화, 커머스 연계
- 메신저에 톡 비즈 파트너 강화
- 오픈 채팅(오픈링크) 독립 앱 출시
커머스
- 모르는 사람들에게 선물하기, 톡 채널 실시간 광고 강화
웹툰
- 타파스,래디쉬,우시아월드 합병, 북미 공량 시너지
- 픽코마 월간이용자 950만 명 돌파, 현지 IPO
게임즈
- 오딘 일본 & 북미 진출, 새 게임 에버 소울, 디스 테라 출시
모빌리티
- 주차 사업 강화, T앱 해외 로밍 공략
오픈채팅 별도 앱으로 독립
: 카카오 경영진들이 찾은 답은 오픈 채팅을 본격적으로 육성하고 광고를 붙이는 것입니다. 오픈 채팅은 공통 관심사를 둔 사람들이 익명으로 모이는 소통의 장으로 일간 활성 사용자들만 900만 명에 달한다고 합니다. 카카오는 4분기 오픈 채팅에 광고를 도입할 계획입니다. 대형 광고주의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화면 특정 영역에 광고를 노출시키는 '디스플레이 광고'가 아니라 검색 결과에 연관성 높은 광고주 콘텐츠를 우선 노출시키는 '검색 광고'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남궁 대표는 다음에서 발생하는 검색 광고가 있지만, 추후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검색, 발견, 탐색의 영역에서 광고가 확장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카카오는 이후 오픈 채팅을 오픈링크라는 별도의 앱으로 독립시키고 해외에도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출처: 카카오, 조선일보, 한국경제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